지난 글에 이어서 신체운동 건강 영역에 대해 이어서 이야기를 나누도록 하겠습니다.
3. 신체활동에 참여하기
즐거운 신체활동을 제공함으로써 유아가 자발적이고 지속적으로 신체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초점을 둔다. 다양한 능력을 가진 친구와 함께 신체활동을 하면서 운동능력에 차이가 있음을 알고 다양한 방법으로 활동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바깥에서 자유롭게 움직임으로써 심신을 건강하게 하고 대근육 발달을 돕는데 주안점을 둔다. 기구를 이용한 신체활동을 하면서 기구를 탐색하고 활용하여 신체 협응력을 발달시키는데 중점을 둔다.
1) 자발적으로 신체활동에 참여하기 - 지도지침 및 유의점
유아의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이나 사물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관찰한 것을 자발적으로 표현해 볼 수 있도록 한다.
① 유아들이 자신의 특성에 맞는 신체운동에 참여함으로써 성공적인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서로의 차이를 자연스럽게 인정할 수 있도록 한다.
② 특히 자신감이 없는 유아나 소극적인 유아에게는 특정한 행동을 완수하도록 강요하지 않도록 하고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줌으로써 스스로 탐색하고 다양한 시도를 해 볼 수 있도록 한다.
③ 교사는 다른 유아와 비교하지 않으며, 유아가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활동에 참여한 점을 구체적으로 칭찬하고 격려한다.
2) 바깥에서 신체 활동하기 - 지도지침 및 유의점
① 매일 규칙적으로 바깥에서 신체 활동하기를 계획하고 계절, 날씨, 유아의 건강상태를 고려하여 진행한다.
② 1일 60분 이상 바깥놀이(대근육 활동 포함) 시간을 확보하도록 한다.
③ 주제와 관련된 활동을 계획하고 동적인 활동과 정적인 활동, 집단활동과 자유놀이 등을 적절히 배치한다.
④ 유아가 규칙적으로 바깥에서 놀이하기, 나들이하기, 산책하기 등에 참여함으로써 자연스럽게 활동하게 한다.
⑤ 바깥놀이 활동공간이 없을 경우에는 인근 놀이터나 공원, 지역사회시설 등을 활용한다.
3) 기구를 이용하여 신체 활동하기 - 지도지침 및 유의점
① 기구를 사용하기 전에 탐색하는 경험을 통하여 기구의 무게, 질감, 색 등을 느껴보고 탐색해 보도록 한다.
② 기구의 사용방법을 알아보며 기구를 활용한 여러 운동들에 대해 알아본다.
③기구 사용 시에는 유아 발달에 적합한 기구를 사용하도록 하도 난이도를 조절하여 안전에 유의하도록 한다.
4. 건강하게 생활하기
일과 중 유아의 건강상태와 신체리듬을 고려하여 규칙적인 생활을 하게 하는데 주안점을 둔다. 스스로 이 닦기, 손 씻기, 주변을 깨끗이 하기, 바른 식생활과 옷 입기 등의 기본생활습관을 실천하는데 초점을 둔다.
1) 몸과 주변을 깨끗이 하기 - 지도지침 및 유의점
① 유아들이 스스로 손 씻기나 양치를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바르게 실천할 수 있도록 교사가 관찰, 지도하도록 한다.
② 유아들의 칫솔은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교체가 필요한 유아는 가정통신문을 통해 개별적으로 학부모에게 알려주어 교체하도록 한다.
③ 매일 유아들의 칫솔 마모상태를 점검하고, 칫솔질이 바르지 않은 유아들의 경우에는 관심을 가지고 지도한다.
④ 유아들의 위생을 위해 수건보다는 핸드타월을 비치하고, 칫솔을 깨끗이 씻어 살균소독기에 보관한다.
⑤ 유아들이 스스로 놀잇감을 제자리에 정리할 수 있도록 유아 발달 및 각 영역의 특징을 고려하여 정리 표시를 해둔다.
⑥ 청소도구 등을 교실 내에 비치래 두어 유아들이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치우는 것이 습관화될 수 있도록 한다.
2) 바른 식생활 하기- 지도지침 및 유의점
① 음식을 남기지 않고 다 먹는 것만 너무 강조할 경우 자칫 음식에 대해 거부감을 가질 수 있으므로 유아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양을 조절해 주어, 식사 시간을 즐겁게 느낄 수 있도록 한다.
② 가정과 같은 식사 분위기 조성을 위해 테이블보를 준비하고, 음악을 틀어주어 유아들이 편안한 분위기에서 식사할 수 있도록 한다.
③ 교사가 유아들과 함께 식사를 하면서 바른 식사 방법 및 태도의 모델링을 보여준다.
④ 간식이나 점심시간에 음식의 이름, 모양, 색, 맛, 혹은 경험 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 유아들이 실생활에서 음식에 대해 관심을 가질 수 있게 한다.
⑤ 어린 연령의 경우에는 식사 도구에 관심을 갖도록 다양하게 준비해 주고, 젓가락 사용을 시도해 보도록 격려한다. 만 5세 유아들에게는 젓가락을 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좋다.
⑥ 유아들의 체질이나 신체 발달 정도 및 이전 경험 등에 따라 피해야 하는 음식이 있기 때문에 교사는 유아들의 개별 신상을 잘 파악하도록 한다.
⑦ 교사는 영양사와 협의하여 유아들의 발달이나 음식에 대한 반응을 고려하여 식단을 조절하도록 한다.
3) 건강한 일상생활하기 - 지도 지침 및 유의점
① 유아들의 건강한 일상생활을 위해 교사는 계획된 교육, 보육과정과 더불어 일상생활에서 지속적으로 지도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
② 유아들이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루 일과를 균형 있게 운영(예: 게임이나 바깥놀이와 같은 동적인 활동 후에는 동화 듣기, 음악 감상 등 정적인 호라동을 안배)하고, 규칙적인 휴식시간을 제공한다.
③ 유아들이 휴식을 취할 때에는 안정감을 느끼고 편안하게 쉴 수 있도록 아늑한 환경(예: 햇빛과 소음 차단, 적절한 온도, 장난감이나 인형 제공, 조용한 음악 들려주기, 동화책 읽어 주기 등)을 마련해 준다.
④ 유아가 즐겁게 생활할 수 있도록 교사는 유아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태도를 가져야 하며, 유아들의 잘못된 행동도 인내력을 가지고 긍정적인 방법으로 지도함으로써 긍정적인 정서와 정신 건강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⑤ 유아들이 하루 일과를 예측하여 즐겁게 놀이에 참여할 수 있도록 일과를 운영한다.
⑥ 어린 연령의 경우 놀이에 몰입하여 스스로 배변 시간을 놓칠 수 있으므로 교사는 유아의 표정이나 행동을 살피며, 하루 일과 동안(활동의 전이 시간이나 실내에서 실외로 이동하기 전 등)에 화장실 가기를 규칙적으로 안내해야 한다.
⑦ 유아들이 배변 실수를 하는 경우에 수치심을 느낄 수 있으므로 독립된 공간에서 처리해주고 정서적으로 위축되지 않도록 배려 해부어야 한다.
4) 질병 예방하기 - 지도 지침 및 유의점
① 유아들의 질병관리를 위해 실내의 습도 및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한다.
② 전문 업체에 의뢰하여 정기적으로 공기 질 검사를 실시하고, 복도 및 교실의 창문을 수시로 열어 환기시킨다.
③ 질병에 걸린 유아가 등원할 경우 회복이 느릴 뿐 아니라 다른 유아들에게 전염될 수 있으므로 해당 유아는 가정에서 휴식을 취하도록 권장한다.
④ 유아들이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생활태도를 갖도록 일상생활에서 지속적으로 지도한다.
⑤ 유아들 중 기관에서 활동하기에 부적절한 옷(예: 드레스, 정장, 구두 등)을 입고 오는 경우, 때와 장소에 알맞은 옷차림에 대해 알아보고 상황과 장소에 맞는 옷을 선별하여 입을 수 있도록 지도한다.
⑥ 질병 예방하기는 가정과의 연계가 중요하므로 정기적인 부모교육을 통해 그 중요성과 내용 및 방법을 안내하고 함께 지도하도록 한다.
'유치원 교사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성을 키우기 위한 교사의 목표 (0) | 2022.09.14 |
---|---|
신체 운동 건강 영역 교사의 역할 및 지도 방법 (0) | 2022.09.13 |
교사가 알아야 할 신체 운동 건강 영역의 운영 (0) | 2022.09.12 |
유아들에게 중요한 신체 운동 및 건강 영역 (0) | 2022.09.12 |
선생님 신체 활동은 정말 중요해요 (1) | 2022.09.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