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본문 바로가기
부모교육

잘못하면 오히려 독이 되는 칭찬입니다.

by 슬기로운라미 2022. 9. 11.
반응형

잘못하면 오히려 독이 되는 칭찬

 

 칭찬은 자신감을 갖게 하고 아이가 가진 능력을 발휘하게 하는데 매우 중요한 이바지를 한다는 것은 이미 다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그래서 칭찬을 많이 하는 것이 좋다는 것은 알지만, 칭찬도 부정적인 효과가 생기므로 아래의 요령에 따라 하는 것이 좋습니다.

1. 아이에 대해 평가를 담은 칭찬은 긍정적인 내용일지라도 되도록 삼가 주세요.

 예쁘게 생겼다, 잘 생겼다, 똑똑하다. 와 같은 긍정적인 내용이라도 평가를 하는 칭찬은, 아이가 평가에 예민해지도록 부추길 수 있습니다. 세상 누구도 모든 면에서 완벽할 수 없으므로 평가에 예민해지면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는 스스로 열등감을 느끼게 되며 이런 칭찬을 많이 받은 아이들은 '자신이 못생겼다.', '못한다.'는 소리를 듣게 될까 봐 불안해하고 그 결과, 자기가 잘하지 못하는 것은 아예 실패하거나 못하게 될까 봐 아예 시도조차 하지 않으려는 행동을 보이기 쉬운 것입니다.

 

2. 구체적인 행동에 대해 칭찬해주세요.

 '착하다', '잘한다.'라고 칭찬하는 것보다 “친구가 힘들어하는 것을 보고 도와주었구나!” 라던지, "네 그림이 너의 생각을 잘 표현하고 있구나!" 또는 "네가 그린 자동차 바퀴가 금방 굴러갈 것 같이 그렸네."라고 또는 "네가 그린 자동차 바퀴가 금방 굴러갈 것 같이 그렸네."라고 구체적으로 칭찬하는 것이 좋습니다. 구체적인 내용 없이 그저 착하다고 말하면 자기가 잘한 것이 무엇인지 명확하게 알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좋은 행동을 강화시키는 것이 어려울 수 있고 평가의 의미가 큽니다.

 구체적으로 잘한 점을 찾아서 칭찬하면 평가의 의미가 적고, 자기의 어떤 행동이 칭찬을 받았는지 분명하게 알 수 있으므로 긍정적인 행동이 증가할 가능성이 훨씬 큽니다.

 

3. 결과보다 노력에 대한 칭찬을 해 주세요.

 예를 들어 , "피아노를 잘 쳤다" 고 칭찬하는 것보다는 "네가 피아노를 치는 것을 들어보니까 열심히 연습한 것 같아서 엄마 또는 아빠가 기분이 좋구나"라고 칭찬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자는 결과에 대한 칭찬으로 아이에게 계속 잘해야만 한다는 부담을 줄 수 있지만, 후자는 열심히 연습한 과정을 칭찬하였기 때문에 결과에 대한 부담 없이 계속 노력할 수 있게 합니다.

 

4. 하지 말아야 할 행동을 하지 않았을 때도 칭찬해주세요.

 착한 행동을 했을 때는 칭찬을 잘 하지만, 해서는 안 될 행동을 하지 않았을 때는 칭찬하지 않고 넘어가기가 쉽습니다. 해서는 안 되는 행동을 하지 않는 것도 많은 노력이 필요하며 이렇게 노력하는 아이를 꼭 칭찬해주며 하지 말아야 할 행동이 줄어들 수 있도록 놓치지 않고 꼭 칭찬해 주세요.

부모 교육 올바른 칭찬 방법

5. 가장 좋은 칭찬은 객관적인 피드백입니다.

 "잘했다"라는 칭찬을 많이 받는 아이들은 오히려 의존적이 되고, 다른 사람의 인정이나 관심에 민감해지면서 소극적이 된다고 합니다. 가장 좋은 칭찬은 "잘했다"라고 말하는 것이 아니라 "네 장난감을 친구한테 빌려주니까 친구가 좋아하네" 라던지, “오늘은 포기하지 않고, 1시간이나 자전거 타기를 연습했구나!!" “식사 시간에 돌아다니지 않고 바르게 앉아서 밥을 먹어 참 기쁘구나” “블록 놀이하고 나서, 스스로 제자리에 정리를 다 했네! 우리 00가 이젠 정리 대장이 되겠다.” 등과 같이 객관적으로 긍정적인 행동을 피드백해주는 것입니다. 그러면 아이는 다른 사람의 칭찬이 없어도 스스로 자기를 칭찬하는 법을 배우고, 열심히 노력하는 아이가 될 것입니다.

 

 무조건 "잘했어.", "최고야.", "잘 될 거야.", "훌륭해."와 같은 막연한 칭찬은 오히려 동기를 잃게 만들고 실패했을 때 변명할 거리를 찾거나 현실을 거부, 외면하게 만듭니다. 그리고 중요한 결점을 보완하거나 부족한 부분에 대한 수정을 놓칠 수가 있기 때문에 그만큼 과정을 칭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그러한 칭찬은 아이들에게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부모도 감정 조절이 되고 관점이 긍정적으로 바뀌게 됩니다. 효과적인 칭찬 방법을 잘 익혀서 우리의 소중한 아이들에게 적절히 사용하길 바랍니다.

 

"진정성을 가지고 과정과 행동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칭찬해 주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