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부모라도 내 아이가 다른 사람에게 사랑받는 것을 좋아할 것입니다. 사실,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부모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조금씩 성장해나가는 모습을 응원해 줄때, 아이의 자존감이 높아지게 되는 것입니다. 아이의 자존감이 높아진다면 타인에게 보여주는 행동에서도 문제를 보이지 않게 되고, 결국 모두에게 사랑받는 아이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1. 부모가 먼저 공감해 주기
아이와 함께 대화를 할 때 공감하는 것은 부모에게 아주 중요한 행동입니다. 아이가 느끼는 희로애락의 감정을 부모가 이해해주고, 공감해 준다면 아이는 안정감을 갖게 되고, 부모에게 감사함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안정된 정서를 가진 아이는 나아가 바른 인성을 가질 수 있으며, 따뜻한 마음을 베풀 수 있습니다. 더불어 정서적 지능이 높은 아이들에게 가능성을 기대할 수도 있겠죠. 부모의 한마디, 바로 "그랬구나."입니다. 단순하고 쉽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쉽게 쓰기 힘들기도 하죠. 하지만 본능적으로 느끼는 감정을 억제시키기 보다는 조절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합니다. 부모의 공감을 통해 아이는 스스로 감정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 생깁니다. 아이가 감정을 컨트롤 할 수 있다는 것은 상대방에게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잘 알고 있다는 것과 같은 이치 입니다.
2. 예의 바른 아이로 키우기
엘리베이터나 동네에서 어른을 만났을 때 인사를 잘하는 아이는 당얀히 예쁨을 받습니다. 공손한 태도가 어른들에겐 대견스럽고 예쁘기만 하지요. 아이는 부모의 거울입니다. 평소에 부모가 어른들을 대하는 태도를 그래도 보고 배웁니다. 부모가 인사를 잘하고 습관화 된 경우라면, 그 아이 역시 부모를 본받아 인사를 잘하는 아이가 됩니다. 인사 이외에도 어른을 공경하는 행동이나, 사회적인 규칙과 규범을 잘 따르는 아이는 예의 바르게 자라고, 예의가 바른 아이는 누구에게나 사랑 받을 수 있습니다.
3. 활발하고 즐거운 아이로 키우기
때로는 아이가 스스로의 행동에 대해 잘 판단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 어른들의 도움이 필요한데, 일관되게 그 행동에 대해 설명해 준다면 아이는 혼란 없이 자신에게 필요한, 그릇되지 않는 행동을 선택할 수 있을 것입니다. 대부분의 아이들은 늘 활발하고, 즐겁습니다. 하지만 주 양육자의 일관성 없는 훈육이나 태도는 아이들에게 혼란을 야기시키고, 나아가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하게 됩니다. 자신의 행동에 대한 판단이 잘 서지 않는 상황에서 아이가 즐겁기란 쉽지 않습니다. 어떠한 행동을 취했을 때 그 행동이 옳은 것인지 그른 것인지 판단이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자신의 행동이 맞는 것이라는 판단 만 잘 선다면 마음껏 자신 있게 행동하게 되고, 그 행위에 대한 자신감 덕분에 활발하고 즐거운 아이가 되는 것입니다.
4. 스스로 감정을 다스리게 하는 연습이 필요해요.
모든 부모님들은 부모가 되기 위한 공부를 한게 아니기 때문에 자녀를 양육하다보면 여러 가지 어려움에 당면하기 마련이지요. 자녀와 부모 모두, 감정을 소모하지 않고 유아 스스로가 자신의 감정을 잘 다스릴 수 있도록 연습이 필요합니다.
1) 유아 스스로 감정을 다스리게 하는 방법
① 유아의 말을 집중해서 듣습니다.
② 유아의 감정을 간단하게 한마디로 인정합니다.
"좋았겠다.", "오! 그래."
③ 유아가 느끼는 감정을 구체적으로 표현해줍니다.
"속상했겠구나!", "무서웠겠구나!"
④ 유아가 원하는 것을 상상할 수 있도록 합니다.
"지금 당장 바다에 가면 조개도 줍고, 물놀이도 할 수 있겠다!"
2) 유아의 자발적인 협조를 얻어내는 방법
① 문제가 무엇인지 부모가 알고 있는 대로 설명합니다.
"의자 위에 젖은 수건이 있네."
② 정보를 줍니다.
"젖은 수건 때문에 의자가 젖는구나."
③ 부모의 감정을 솔직하게 이야기합니다.
"엄마는 축축한 의자에 앉는게 싫단다."
④ 유아에게 쪽지를 남깁니다.
"저를 제자리에 걸어주세요. 그래야 마른답니다. 감사합니다. 수건으로부터!"
3) 자립심을 길러주는 방법
① 유아 스스로 선택하게 합니다.
"오늘은 바지 입을래? 치마 입을래?"
② 유아가 노력하는 것을 존중해줍니다.
"혼자 단추를 채우는 일은 조금 어려울 수 있는데, 기특하게도 혼자서 잘 하네."
③서둘러 답하지 말고 생각할 시간을 줍니다.
"재미있는 질문이네. 네 생각은 어때?"
④ 다른 곳에서 도움을 구하도록 합니다.
"수족관에 가면 물고기에 대해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거야."
⑤ 희망을 잃지 않도록 격려해 줍니다.
"다른 방법으로 해 보려고? 그거, 좋은 생각이다."
4) 무한한 가능성을 깨닫도록 하는 방법
① 유아에게 새로운 이미지를 심어 주는 기회를 가집니다.
"네가 어릴 때 탔던 자전거인데, 벌써 이렇게 컸구나!"
② 유아가 듣느 데서 칭찬합니다.
"그렇게 아픈 주사를 맞는데도 울지도 않고 잘 맞다니, 참을성이 좋구나."
③ 유아의 특별한 순간을 기억해 둡니다.
"예전에 네가 엄마한테 잘 할 수 있다고 말했던 때가 기억난다."
'부모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아이의 면역력 높이기 (0) | 2022.09.27 |
---|---|
내 아이가 말대꾸 하는 아이라면 (1) | 2022.09.26 |
아이와 행복하게 대화하는 방법 (0) | 2022.09.21 |
우리 아이의 감성 높이기 (1) | 2022.09.20 |
부모교육 유아기의 중요성 (2) | 2022.09.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