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라미 선생님입니다.
지난 시간에 이어 이야기 나누기에 대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1. 유아에 의한 주제 선정 및 이야기 나누기(활동 1)
유치원의 교육활동은 생활 주제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집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생활주제의 도입, 전개 시기는 교사에 의해 결정되곤 합니다. 이런 경우 주제 선정 과정에서부터 소외된 유아들은 교사의 계획과 진도에 따라 수동적으로 학습하는 경향을 보이게 됩니다. 그러나 교사가 주제 선정의 주도권을 50% 정도 유아들에게 내어주어, 유아들이 새로운 주제를 자유롭게 제안하고, 일련이 합의과정을 거쳐 새로운 주제를 선정할 뿐 아니라 주제 전개 과정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할 경우, 유아들은 보다 더 능동적으로 주제와 관련된 이야기 나누기 활동에 참여하게 됩니다.
<활동방법>
1) 유아들에게 새로운 주제를 선정해 보자고 이야기합니다.
① 너희들은 무엇에 관해 알아보고 싶니?
② 무엇을 새로운 이야깃거리(주제)로 삼으면 좋을까?
2) 유아들이 자유 연상에 의해 알아보고 싶은 주제를 제안하면, 교사는 종이에 적어서 게시합니다.
3) 주제를 제안한 유아들에게 주제 제안 이유를 소개하도록 합니다.
① 너는 왜○○에 대해 알아보고 싶었니?
② ○○이 이야깃거리(주제)로 결정되면 우리는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
③ ○○에 관한 이야깃거리(주제와 관련하여 유아들이 유치원으로 가져와 소개할 수 있는 물건)를 많이 찾을 수 있을까?
4) 유아들이 제안한 주제가 2가지 이상인 경우에는 여러 주제 가운데 한가 지 주제를 선정하기 위한 방법을 의논합니다.
① 이렇게 많은 이야깃거리(주제)들을 한꺼번에 모두 알아볼 수 있을까?
② 어떤 방법으로 한 가지 이야깃거리(주제)를 결정할 수 있을까?
예_다수결 원칙으로 한 가지 주제 선정하기, 다수결 원칙에 따라 우선순위를 정하여 순서대로 모두 알아보기, 양보하고 싶은 사람이 양보하기, 가위․바위․보로 정하기
5) 합의된 주제 선정 방법에 의하여 유아들이 제안한 주제 가운데서 학급 공동의 생활 주제를 선정합니다.
6) 새로 선정된 주제에 관해 알아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 나눕니다.
① ○○에 관한 이야깃거리는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
② 집에 가서 ○○에 관한 이야깃거리가 있는지 잘 살펴보자.
③ ○○에 관한 이야깃거리를 찾은 사람은 유치원으로 가져와서 친구들에 게 보여주며 이야기 나누도록 하자.
2. 보여주며 이야기하기(활동 2)
‘보여주며 이야기하기’란 유아들이 학급 공동의 주제와 관련하여 주변에서 찾아온 물건을 친구들에게 보여주며 소개하는 활동을 말합니다. 이때 소개받은 유아들은 소개하는 친구의 이야기를 잘 듣고, 그 물건을 탐색하면서 서로 질의응답을 하게 됩니다. 이러한 활동은 유아들이 주제 전개 과정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할 뿐 아니라, 매우 다양하고 유익한 실물 교수 자료를 서로에게 제공하는 좋은 기회가 됩니다.
<활동방법>
1) 유아들에게 현재 진행 중인 주제와 관련하여 소개하고 싶은 것들을 주변에서 찾아보자고 이야기합니다.
① 너희 집에서는 ~ 에 관한 이야깃거리(물건)가 있니?
② 이야깃거리(물건)를 유치원에 가지고 와서 친구들에게 보여주면 어떨까?
③ 이야깃거리(물건)를(물건)를 잘 소개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예_자기가 소개할 물건에 대해 잘 알아야 한다)
2) ‘이야기 나누기 시간’에 주제와 관련하여 유아들이 가지고 온 물건들을 소개해 보도록 합니다.
① 이것은 '~야. ' 더 궁금한 것이 있으면 물어봐.
3) 유아의 소개가 끝나면, 궁금한 점에 대해 유아와 유아, 유아와 교사 간에 자유롭게 질의응답합니다.
① 그것은 이름이 무엇이니?
② 왜 그것을 가지고 왔니?
③ 그것은 어떻게 사용하는 거니?
④ 그것은 누가 사주셨니?
⑤ 그것은 바퀴(기타...)가 모두 몇 개야?
⑥ 그것은 왜 고장이 났니?
⑦ 그것은 무슨 힘으로 돌아가니?..
4) 교사는 유아 상호 간의 대화를 잘 들으면서, 유아들이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부분에 대해 언어적 중재를 합니다.
① 고장 난 자동차를 어떻게 할 거니?
② 고장 난 자동차를 고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3. 활동 장면 관찰
1) 활동이 어떻게 도입되었는가?
2) 사용된 자료들은 무엇이었는가?
3) 교사는 유아들의 다양한 선택을 어떻게 통합하였는가?
4) 활동 중에 다른 자료가 더 제공되었는가?
5) 문제 해결의 기회가 있었는가?
6) 교사의 질문은 어떠한 것들이었는가?
7) 활동의 종결은 어떻게 이루어졌는가?
'유치원 교사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아와 하나 되는 수업 운영을 위한 노력 (0) | 2022.09.04 |
---|---|
유치원 교실 운영을 창의적으로 하기 위한 노력 (0) | 2022.09.03 |
이야기 나누기 활동의 효율적인 운영 방법 (0) | 2022.09.02 |
이야기 나누기 시간에 다룰 수 있는 주제 (0) | 2022.09.01 |
이야기 나누기가 어려운 선생님은 꼭 읽어보세요. (0) | 2022.08.31 |
댓글